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12.3 내란

12.3 사태, 2024 비상계엄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선포했으나, 국회의 해제 요구에 따라 6시간 만에 철회됨.
이어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며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됨.


탄핵(彈劾): 공직자가 헌법이나 법률을 위반한 경우, 국회가 이를 조사하고 직위에서 물러나게 하거나 처벌을 요구하는 절차.
소추(訴追): 범죄나 위법 행위를 고발하여 법적으로 책임을 물음.
안(案): 탄핵 절차를 개시하자는 공식적인 제안.
 → 공직자의 위법 행위를 이유로 국회에서 탄핵 절차를 시작하자는 공식 제안 문서.

■ 배경
 ▶ 2022.5 20대 대통령 윤석열 취임

■ 비상계엄 선포
 ▶ 12.3 22:25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 기능 마비와 안보 위협 등의 이유로 비상계엄을 선포함(🗒️담화문, 🗒️계엄법). 
 ↘ 비상계엄은 국가 위기 시 계엄군이 권한을 행사하고, 국민의 자유와 기본권을 제한함
 ▶ 이에 국민과 국회의원은 국회로 모이고, 계엄군 일부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진입함.
 ▶ 23:00 계엄사령부에서 정치 활동, 언론, 파업 등을 금지하는 포고령 1호를 발표하고(🗒️포고령),
 ▶ 12.4 00:10 무장한 계엄군이 국회로 진입함.

 ▶ 12.4 1:00 국회는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재석 190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함. 
 ↘ 헌법 제77조 제5항에 따라 국회 과반수 찬성 시 대통령은 계엄을 해제해야 함
 ▶ 이후 계엄군이 국회에서 철수하고,
 ▶ 4:20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해제 담화를 발표함(🗒️담화문).

 → 계엄 당시 SNS 등을 통해 국회 내부와 주변 상황이 전세계로 실시간 중계됨.

■ 탄핵소추안 발의
 ▶ 12.4 6개 야당은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발의하지만,
 ▶ 12.7 여당이 당론에 따라 투표에 불참하면서 부결됨.

 ▶ 12.12 여·야 의원들이 2차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발의함.
 ▶ 12.14 17:00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어 대통령의 권한은 정지되고, 국무총리가 권한을 대행함. 
 - 재석 300명, 찬성 204명, 반대 85표, 기권 3표, 무효 8표

 ▶ 2025.4 헌법재판소는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결정함.